슬롯사이트
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안티 슬롯사이트는 화석연료 산업과 일부 정치 세력의 전략적 합작품"

글로벌이코노믹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안티 슬롯사이트는 화석연료 산업과 일부 정치 세력의 전략적 합작품"

슬롯사이트(KoSIF)과 인플루언스맵(InfluenceMap)은 27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글로벌 안티 ESG 흐름과 국내 기업의 대응 방향'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사진=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이미지 확대보기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과 인플루언스맵(InfluenceMap)은 27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글로벌 안티 슬롯사이트 흐름과 국내 기업의 대응 방향'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사진=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미국 등 일부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 최근의 ‘안티 슬롯사이트’(AntI-슬롯사이트)가 석탄 등 화석연료 산업과 일부 정치 세력이 전략적으로 조성한 흐름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과 금융기관은 단기적 흐름이 아닌 장기적인 관점에서 성장 전략의 일부로 슬롯사이트를 내재화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제시되었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과 인플루언스맵(InfluenceMap)은 27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글로벌 안티 슬롯사이트 흐름과 국내 기업의 대응 방향'을 주제로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한 반 슬롯사이트 흐름이 한국 기업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변화하는 국제적인 환경 속에서 국내 기업들이 경쟁력을 유지할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세미나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서 발제자로 참석한 인플루언스맵 이세진 한국팀 매니저는 “미국의 안티 슬롯사이트 흐름은 슬롯사이트 규제로 인해 직접적인 영향을 우려한 화석연료 기업 및 산업협회들이 반대 담론을 적극적으로 주도한 결과”라고 진단했다.
이 매니저는 화석연료 산업은 안티 슬롯사이트흐름의 핵심에 있으며, 실제로 아치콜(ArchCoal), 머레이 에너지(Murray Energy Corporation), 석탄 채굴 기업인 ARLP(Alliance Resource Partners. L.P.) 등 미국의 석탄 회사 및 협회들이 안티 슬롯사이트 법안인 모델 슬롯사이트법안(Model 슬롯사이트 Bills) 초안을 작성하였고, SFOF, 택사스 공공정책 재단(Texas Public Policy Foundation) 등 우익 싱크탱크들이 이와 관련한 메시지와 아젠다를 주류 기업 그룹에 전달하는 등 전략적으로 조성했다고 진단했다.

안티 슬롯사이트 흐름의 더 큰 목표는 기후 정책 행동을 차단하고, 주주들이 기업의 기후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권한을 약화시키는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미국 내 슬롯사이트 규제 후퇴 흐름에 대한 분석도 이어졌다. 미국에 본사를 둔 모리슨 포스터(Morrison Foerster)의 크랙 디 마틴 공동대표는 “지난해부터 미국에서는 슬롯사이트 및 지속가능성 이니셔티브가 상당한 도전에 직면했으며, 그 영향이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유럽은 지속적으로 슬롯사이트 관련 투명성과 규제 준수를 강화하며 글로벌 슬롯사이트 기준을 주도하고 있다”며 ”슬롯사이트 규제 환경이 각국에서 다르게 전개되고 있는 만큼 한국 기업들도 이러한 차이를 면밀히 분석하고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미국 내 슬롯사이트 관련 소송 및 법적 리스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소비자 집단소송 및 증권 소송과 관련된 대응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설명하며, “기업들이 슬롯사이트를 단순한 규제 대응이 아니라 기업 전략의 핵심 요소로 인식하고, 장기적인 성장 전략과 연계해 지속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안티 슬롯사이트 의 공격은 지속가능금융을 추진하는 금융기관에 집중되어 있다. 이에 대한 투자자의 관점에서의 대응도 제시되었다. 최근 블랙록, 뱅가드, 스테이트 스트리트 등이 기존에 자산운용사 내부 스튜어드십 팀 등에서 외부 의결권 자문사 권고를 참고하거나 직접 분석하여 포트폴리오 내 회사 주주총회 의결권을 행사하던 방식을 다양한 옵션(운용사 정책, 제3자 정책, 직접투표, 투표 안함 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변경하여 자산소유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변경했다.

이에 대해 아시아기후변화투자자그룹(AIGCC) 조대현 박사는 “일부에서는 슬롯사이트 투자 흐름의 위축으로 해석하는데, 자산소유자가 직접 의결권을 행사하는 방식은 후퇴가 아니라 정상화 과정이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DEI(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정책 후퇴, 2024년도 환경과 사회 주주제안 지지율 최저 기록 등도 안티 슬롯사이트 영향으로 분석하고 있는 관점을 반박하며, “미국에서는 기관투자자의 관심은 줄어도 걱정은 제한적이며, 미국 외 기관투자자는 아직 활발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조 박사는 특히 MSCI 신흥시장 지수(EM Index Weight)에서 한국의 비중이 16.1%에서 9.1%로 감소한 반면, 중국, 인도, 대만 등 다른 아시아 주요 국가들은 지속적으로 비중을 확대해 왔다”며, “투자자들이 한국 시장에 대한 관심을 줄이는 흐름이 이미 진행되고 있어,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고 지속가능성 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등 기업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 조영준 원장은 기업의 현실적인 관점에서 슬롯사이트 규제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기업들이 공시 및 규제 부담을 느끼고 있는 현실을 인정했다. 그럼에도 글로벌 기업들의 슬롯사이트 기조는 큰 틀에서 변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조 원장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슬롯사이트 규제는 풀어도 글로벌 슬롯사이트 채권 등 슬롯사이트 투자 및 주요국(미국, 한국, 중국, 유럽, 일본)의 기후변화 완화 기술개발 등 슬롯사이트 트렌트는 지속되고 있고, 애플, 테슬라, BMW, MS 등 글로벌 기업들을 중심으로 한 공급망 관리에 대한 요구도 변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조 원장은 “현재는 과열된 슬롯사이트 시장에서의 숨 고르기 시간으로 슬롯사이트의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다”며 “우리 기업은 기존 슬롯사이트 전략을 점검하거나 일부를 수정할 필요는 있고,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슬롯사이트 투자는 우선 순위를 비용 대비 효과 분석 후 투자하고, 탄소세•슬롯사이트 공급망 실사 등 임박한 슬롯사이트 규제에 맞추어 우선 순위를 정하는 유연한 대응, 이해관계자 확대에 따라 기업 브랜드 이미지 및 수익성을 적절히 고려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마지막 발제자로 나선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김태한 수석연구원은 슬롯사이트를 둘러싼 국제적 변화와 국내 정책 흐름을 함께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수석연구원은 “현재의 불확실한 글로벌 환경 속에서도 기업들은 슬롯사이트를 전략적 도구로 활용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수석연구원은 특히 글로벌 기업의 공급망 슬롯사이트 요구 수준과 관련하여 “정권이 바꾼다고 실존하는 기업의 위험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점,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은 오히려 가속화 되고 있다는 점, 고객사의 마케팅 및 제품 경쟁력 측면에서도 공급망 저탄소화는 유리하는 점, 고객사의 입장에서 보면 슬롯사이트 요구 지속이 가격협상에서도 유리하다는 점에서 슬롯사이트는 지속될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국내 상황에 관련하여 김 수석연구원은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이 지난 해 22대 총선을 앞두고 각 정당의 슬롯사이트 정책에 대한 입장을 물은 결과, 일부 차이는 존재하지만 슬롯사이트 정보공개 의무화, 지속가능 금융 액션 플랜 마련 등 주요 정책 논의는 계속될 전망”이라며, 슬롯사이트를 정치적 이슈로 바라보기보다 기업 경영 환경의 변화로 인식하고 대응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한편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양춘승 상임이사는 세미나 개회사를 통해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의 특성상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슬롯사이트 흐름을 주목하고 변화를 고민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라고 전제하며 "슬롯사이트는 단순 유행이 아닌 지속가능한 경제 시스템을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잡았기 때문에, 국내 기업들이 단기적인 논의에 흔들리기보다, 성장 전략의 일부로 슬롯사이트를 내재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70여 명의 기업 및 금융기관 슬롯사이트 담당자들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